김일손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조선 중종반정 이전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사초 사건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음을 맞은 위인이에요. 그는 조선 성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학문과 인품을 겸비한 인물로 주목받았고,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청렴한 관료로서의 삶을 살았어요. 그의 생애는 조선의 사화 무오사화의 중심 인물로 기억되며, 권세에 아부하지 않고 바른 말을 서슴지 않았던 지식인의 상징으로 평가 받아요.김일손은 1464년 경상도 밀양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밀 양이에요.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에 뛰어났으며, 점차 성리학에 심취하여 학문적 기반을 닦았어요. 이후 그는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영남 사림의 계보를 잇는 중요한 인물로 성장하게 되었어요. 김종직은 조선 ..
그의 글씨는 대체로 엄정하고 정직하며 기품이 살아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해서에서는 곧고 반듯하면서도 활달한 기운이 흐르는 것이 특징이에요. 서풍은 후대 서예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홍언필의 글씨는 지금도 전각, 현판, 고문서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어요. 그는 학문적으로도 탁월 했어요. 유교 경전과 역사, 문학에 정통 했고 후학 교육에도 힘썼어요. 특히 예학에 깊은 관심을 두었으며, 예의범절과 도덕 실천을 강조 했어요. 그는 학문을 이론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실제 삶에서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삶의 자세는 그가 쓴 글씨와 문장에서도 잘 드러 나요. 정치적으로는 큰 권세를 누리기보다는 중용과 절제를 지키며 학자적 자세를 유지 했어요. 하지만 당대 정치적 격동 속에서도 충직한 신하로서 ..
홍언필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명필이자 학자, 문신으로, 성종 말기부터 중종, 명종 연간에 걸쳐 활약한 인물이에요. 그는 조선의 글씨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서예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모든 서체에 능하여 당대 최고로 평가 받았어요.홍언필은 조선에서 손꼽히는 명필로 서법의 으뜸이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안평대군, 양사언, 한호 등과 함께 조선 4대 서예가로 평가되기도 해요. 그의 출생 배경을 살펴보면, 아버지는 홍귀달이며, 유서 깊은 가문에서 태어 났어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문예에 재능을 보여 일찍이 학문에 힘썼으며, 성균관에서 수학한 뒤 진사시에 급제 했어요. 그는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면서도 글씨와 학문 연구에 힘을 쏟았고, 당시 유생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어요. 특히 예문관, 홍문관 등 학..